본문 바로가기

공소 제소 피소 뜻, 헷갈리면 손해보는 이유

by 사주탓금지 2025. 4. 30.
반응형

 

직접 겪기 전엔 이런 말 몰라도 괜찮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막상 우편함에 무슨 서류가 꽂혀 있거나, 뉴스에서 비슷한 단어가 나오면 나도 모르게 검색부터 하게 되더라고요. '공소', '제소', '피소'처럼 비슷하게 생긴 법률 용어는 특히나 더 헷갈리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세 단어가 어떻게 다르고,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를 아주 쉽게 풀어드릴게요. 뉴스나 문서에서 한 번쯤 본 단어일 수 있으니 꼭 알고 넘어가야 할 지식입니다.

 

공소 뜻부터 정확하게 짚고 가기

공소란, 검사가 범죄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 그 사건을 법원에 정식으로 넘기는 것을 말해요. 쉽게 말해, 수사 후 검사가 "이 사람 재판 받게 해야겠다" 하고 법원에 사건을 제기하는 것, 그게 바로 '공소'예요.

  • 주체는 '검사'
  • 대상은 '범죄자(피의자)'
  • 목적은 '형사 재판 진행'

즉, 공소가 제기되었다는 말은 '이제 재판이 시작된다는 의미'이고, 검찰이 수사 끝에 법적으로 판단을 내렸다는 뜻이에요. 형사 사건에만 해당되고, 민사 사건에서는 쓰이지 않아요.

 

제소 뜻은 이렇게 구분돼요

반대로 제소는 '누군가가 소송을 제기하다'는 의미로, 형사 사건이든 민사 사건이든 모두 포함할 수 있어요. 공소는 검사만 할 수 있지만, 제소는 일반인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 주체는 '누구나'(개인, 회사 등)
  • 대상은 '법원'
  • 목적은 '소송을 시작하는 것'

예를 들어, 친구한테 돈을 빌려줬는데 안 갚는다면 민사 소송을 걸 수 있고, 이걸 '제소'라고 해요. 이처럼 형사와 민사 모두에 쓰이는 일반적인 개념이 바로 '제소'입니다.

 

피소 뜻은 입장 자체가 달라요

이제 '피소'는 조금 다르죠. 피소는 '소송을 당했다'는 뜻이에요. 누군가가 나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황에서, 나는 피소된 입장이 되는 거죠.

  • 주체는 '타인'
  • 대상은 '나'
  • 의미는 '소송을 당함'

즉, 피소를 당했다는 건 내가 피고인 또는 피고가 되었다는 말이에요. 상대방이 제소하거나 공소를 제기했다면, 그에 대한 반대 입장에서 내가 있는 상황입니다.

 

세 단어의 관계를 쉽게 정리하면

공소: 검사 → 피의자 (형사 재판 개시) 제소: 누구든 → 상대방 (형사/민사 상관없음) 피소: 내가 → 소송 당한 사람 (수동적 입장)

이렇게 세 단어는 누가, 누구에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공소'는 형사에서만, '제소'는 형사/민사 모두, '피소'는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 말이에요.

 

용례를 통해 더 정확히 이해하기

  • 검찰은 해당 사건에 대해 공소를 제기했다 → 형사 사건 정식 재판 시작
  • 피해자는 가해자에게 손해배상 청구를 위해 제소했다 → 민사 소송 개시
  • 유명 연예인은 명예훼손 혐의로 피소되었다 → 누군가의 소송 대상이 되었다

비슷해 보이지만 맥락이 다르고,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면 안 돼요. 특히 '제소'와 '피소'는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으니 뉴스나 공문서 볼 때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비교 요약

  • 공소: 오직 검사만 사용, 형사 사건 한정
  • 제소: 누구나 가능, 민사/형사 모두 가능
  • 피소: 상대방이 소송을 건 경우, 내가 당한 입장

공소, 제소, 피소 같은 단어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뉴스 이해도 훨씬 빨라지고, 실제로 내 일에 닥쳤을 때 당황하지 않을 수 있어요. 법률 용어는 복잡해 보여도 하나하나 뜯어보면 구조가 단순하니 꼭 기억해두세요.

 

2025.04.22 - [뜻] - 시간당 강수량 뜻, 몇 mm면 많은 비일까?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비의 양

 

시간당 강수량 뜻, 몇 mm면 많은 비일까?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비의 양

비가 오면 우리는 말하죠.“오늘 비 진짜 많이 오네”, “시간당 몇 mm래?”그런데 여기서 문득 궁금해지는 게 있습니다. 도대체 시간당 몇 mm가 얼마나 많은 양인 걸까요?기상청 발표에서는 “시

toudy.tistory.com

2025.03.29 - [뜻] - ESG 뜻과 개념, 기업에서 왜 중요한가?

 

ESG 뜻과 개념, 기업에서 왜 중요한가?

요즘 뉴스나 기업 홍보자료를 보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어요.바로 ‘ESG’라는 용어인데요.저도 처음엔 “이거 무슨 약자인가?” 하고 넘겼는데,요즘은 기업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서

toudy.tistory.com

2025.03.22 - [뜻] - 건강보험 본인부담액상한제, 상한제 사후환급금이란?

 

건강보험 본인부담액상한제, 상한제 사후환급금이란?

최근 병원비가 생각보다 많이 나와서 당황하셨던 경험 있으세요?저는 얼마 전 병원비 청구서를 보고 '이거 건강보험 있는데도 너무 많이 나왔잖아?' 싶었는데요,그때 알게 된 제도가 바로 ‘본

toud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