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관련

60갑자란?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완벽 정리

by 사주탓금지 2025. 4. 29.
반응형

 

매년 새해가 되면 "올해는 무슨 해입니다" 하는 말을 자주 듣게 되죠. 예를 들면, 갑자년, 병오년 같은 표현인데요. 그런데 이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고 보면 이 말들이 모두 '60갑자'에서 나온 거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갑잔치도 이 60갑자와 깊은 관련이 있어요. 오늘은 60갑자가 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일상에서 어떻게 쓰이는지까지 쫙 정리해드릴게요.

60갑자의 기본 개념

60갑자란 무엇인가?

60갑자는 하늘을 나타내는 10개의 글자(십간)와 땅을 나타내는 12개의 글자(십이지)를 순서대로 조합해 만든 60개의 조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천간(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과 지지(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를 차례대로 짝지어 만든 거예요. 갑자(甲子)로 시작해서 계해(癸亥)로 끝나는 60개의 조합이 한 주기를 이룹니다.

왜 60개일까?

천간은 10개, 지지는 12개라서 무작정 짝지으면 120개가 나와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60개만 존재해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짝수와 홀수를 맞춰서 조합하기 때문이에요. 천간의 홀수는 지지의 홀수와, 짝수는 짝수와 짝지어야 해서 60개 조합만 가능한 거죠.

60갑자의 역사와 탄생

중국 고대에서 시작된 60갑자

60갑자의 기원은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중국 신화에 따르면 황제 헌원이 사관에게 명령해 만든 것으로 전해지지만, 실제로는 상나라 시대부터 갑골문에 등장할 정도로 오래된 체계예요. 처음에는 하루하루 날짜를 기록하는 데만 쓰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해나 달, 심지어 시간 단위로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우리나라와 60갑자

우리나라에서도 60갑자는 오래전부터 사용됐습니다. 특히 백제는 독특하게 연호 대신 60갑자로 연도를 기록했어요.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왕이 칠정산을 만들면서 1444년(갑자년)을 기준으로 공식적인 기년법으로 채택했죠. 이후 조선시대 각종 사건들에도 갑자명이 붙었어요. 예를 들어 임진왜란(1592년), 갑오개혁(1894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60갑자 계산하는 법

초간단 계산법

60갑자 계산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다음 순서를 따라 해보세요.

  1. 구하고자 하는 서기 연도에서 4를 뺍니다.
  2. 나온 숫자를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천간에 맞춥니다.
  3. 같은 숫자를 12로 나눈 나머지를 지지에 맞춥니다.
  4. 천간과 지지를 합치면 그 해의 60갑자가 됩니다.

 

예시

  • 2026년이라면, 2026-4=2022
  • 2022를 10으로 나눈 나머지는 2 ➔ 병(丙)
  • 2022를 12로 나눈 나머지는 6 ➔ 오(午)
  • 따라서 2026년은 병오년(丙午年)입니다!

 

이 방법만 기억하면 언제든 쉽게 60갑자를 구할 수 있어요.

60갑자의 쓰임과 활용

일상생활에서의 60갑자

  • 환갑잔치: 60년이 지나 다시 태어난 해의 간지로 돌아온다는 의미
  • 족보 기록: 생몰년을 서양식 연도 대신 60갑자로 표기
  • 사주팔자: 출생 연도, 월, 일, 시간을 각각 60갑자로 표시해 운세를 풀이

주의해야 할 점

한 가지 꼭 기억해야 할 것은, 60갑자의 새해는 양력 1월 1일이 아니라 음력 1월 1일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같은 1990년생이어도 음력 생일 기준에 따라 띠가 달라질 수 있어요.

또한 사주에서는 입춘(2월 3~4일 경)을 기준으로 간지가 바뀌기 때문에, 같은 해라도 태어난 날짜나 시간에 따라 띠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비교: 60갑자와 서양식 연도 표기의 차이

60갑자는 60년을 주기로 같은 이름이 반복되고, 천간과 지지를 조합해 해를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은 갑진년(甲辰年),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 2026년은 병오년(丙午年)으로 표현됩니다. 반면 서양식 연도 표기는 단순히 숫자만 올라가죠. 2024, 2025, 2026처럼 1년씩 증가하기만 합니다.

60갑자는 해마다 상징과 기운을 담고 있어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 해를 표현할 때 자연의 흐름과 인간사를 함께 담아낸다는 점에서, 서양식 연도 표기와는 다른 깊은 문화적 의미를 가집니다.

마무리

60갑자는 단순히 시간을 세는 방법을 넘어, 인간의 삶과 자연의 흐름을 조화롭게 엮은 지혜입니다. 하늘과 땅, 시간의 흐름을 상징하는 이 체계는 우리 문화 곳곳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매년 돌아오는 무슨 해, 무슨 띠의 의미를 이제는 조금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죠. 앞으로는 단순한 연도 이상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떠올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5.04.25 - [사주관련] - 만세력 재물운 사주 확인법, 초보자도 5분 안에 이해할 수 있어요

 

만세력 재물운 사주 확인법, 초보자도 5분 안에 이해할 수 있어요

혹시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나요?‘나는 돈복이 있을까?’‘사업이 나한테 잘 맞는 사주일까?’‘지금 하는 일로 돈을 계속 벌 수 있을까?’이런 질문은 단순한 궁금증이 아니라 현실적인 고민

toudy.tistory.com

2025.03.20 - [사주관련] - 사주팔자란? 왕초보를 위한 개념정리

 

사주팔자란? 왕초보를 위한 개념정리

사주팔자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본 적 있을 거예요. 누군가는 "사주팔자대로 산다"는 말을 하기도 하고, 사주를 통해 운명을 본다는 사람들도 있죠. 그런데 막상 사주팔자가 정확히 뭘 의미하는

toudy.tistory.com

2025.03.29 - [사주관련] - 삼재 뜻,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삼재 계산법

 

삼재 뜻,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삼재 계산법

예전부터 어른들이 “올해는 삼재라 조심해야 해”라고 말하곤 했죠. 저도 처음엔 삼재가 뭔지 몰라 그냥 지나쳤는데요, 실제로 무언가 잘 안 풀리는 시기와 겹치다 보니 괜히 찝찝하더라고요.

toud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