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관련정보

[지역개발채권 구입] 농협은행 직접방문하여 채권구입하기

by 사주탓금지 2023. 3. 22.
반응형

 

공공기관 계약을 하다 보면 ‘지역개발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
저도 처음엔 이게 뭔지 몰라서 헤맸는데, 막상 알고 나면 복잡하진 않더라고요.

오늘은 지역개발채권 발행 시 준비해야 할 서류, 매입 절차, 요율 계산법까지
처음 하시는 분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어요.

지역개발채권이란?

공공계약(물품 납품, 용역 등)을 체결한 업체가 지방자치단체에 일정 금액을 채권으로 의무 매입해야 하는 제도예요.
이 채권은 지역개발에 쓰이는 자금 조달을 위한 용도이며, 보통 계약금액의 일정 비율(물품 1.5%, 용역 2.5%)로 계산돼요.

지역개발채권 발행 준비서류

은행을 직접 방문해서 채권을 발급받으려면 다음 서류가 필요해요.

 

대리인 신분증
사업자등록증
현금 (카드, 계좌이체 불가)
계약서에 사용한 법인도장

 

※ 반드시 현금으로 준비해야 하며, 금액은 방문 전에 꼭 확인하고 가는 것이 좋아요.

매입 신청서에 기재할 정보

채권 매입 신청서를 작성할 때는 아래 정보를 기입해야 해요.

  • 법인명
  • 사업자등록번호
  • 회사 전화번호
  • 회사 주소
  • 청구기관명 (계약처)
  • 채권매입금액

채권금액 계산법

채권금액은 계약금액(부가세 제외) 기준으로 계산해요.
물품 계약은 1.5%, 용역 계약은 2.5%의 비율이 적용됩니다.

 

✳ 예시
계약합계액이 154,000,000원인 경우
→ 공급가액 140,000,000 × 2.5% = 3,500,000원이 채권 매입 금액

지역개발채권 발행 방법

지역개발채권은 나라장터를 통해 전자 발급하거나, 직접 은행 방문 후 발행할 수 있어요.

 

전자 발급 (나라장터)

  • 발급 가능 은행: 농협
  • 조건: 농협 계좌 필수

직접 방문 발급

  • 농협 지점에 방문하여 채권을 현금으로 매입
  • 농협 계좌가 없어도 발급 가능

방문 전 체크사항

은행마다 적용되는 채권 매입 요율이 매일 달라지기 때문에,
당일의 적용 요율에 따라 준비해야 할 현금 금액도 달라져요.

그래서 반드시 사전에 농협에 전화하여 매입금액에 해당하는 실제 납부액을 확인하셔야 해요.

 

✳ 문의 예시
“채권매입금액 350만원인 계약인데, 오늘 기준으로 실제 납부 금액이 얼마인가요?”
→ 은행에서 알려준 금액만큼 현금으로 준비해서 가면 됩니다.

농협에서의 채권 매입 절차

  1.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 농협 지점에 방문
  2. 채권 매입신청서 작성 (굵은 선 안쪽 항목만 작성)
  3. 은행원에게 서류와 현금을 함께 제출
  4. 채권 발급 후, 거래 확인증 수령

마무리 정리

✅ 요점 정리

  • 지역개발채권은 공공기관 계약 시 의무 매입하는 채권
  • 물품 1.5%, 용역 2.5% 기준으로 공급가액에서 계산
  • 농협에서 현금으로만 발행 가능 (농협 계좌 없으면 방문 필수)
  • 요율은 매일 변동되므로 방문 전 금액 반드시 확인
  • 준비서류: 사업자등록증, 신분증, 법인도장, 현금

2025.03.22 - [분류 전체보기] - 건강보험 본인부담액상한제, 상한제 사후환급금이란?

 

건강보험 본인부담액상한제, 상한제 사후환급금이란?

최근 병원비가 생각보다 많이 나와서 당황하셨던 경험 있으세요?저는 얼마 전 병원비 청구서를 보고 '이거 건강보험 있는데도 너무 많이 나왔잖아?' 싶었는데요,그때 알게 된 제도가 바로 ‘본

toudy.tistory.com

 

반응형